본문 바로가기
  • 안녕하세요! 금융, 책, 코딩을 기록합니다
'코'딩/SQL

SQL 기초 (SQL이 회사에 필요한 이유와 SQL의 특징)

by 금책코 2025. 6. 29.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SQL 카테고리를 시작해보려 합니다.
 
기본적으로 SQL 카테고리에서 소개될 내용은
SQL의 깊은 원리보다는 회사의 실업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SQL의 쿼리문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비록 이 카테고리가 실무에 집중되서 쓰일 글이지만,
 
오늘은 SQL에 관한 첫 글이니 간단한 소개와 필요성에 대해서 적을 예정이니 편하게 이번 글을 읽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1) SQL의 역사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이고, 번역해보자면 '구조적 쿼리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QL의 원형은 1970년무렵 IBM 소속의 도날드 챔벌린(Donald Chamberlin)과 레이먼드 보이스가(Raymond Boyce)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고, 당시의 이름은 SEQUEL(Structured English Query Language)였습니다.

[사진] SQL 창안자 도날드 챔벌린과(왼쪽) 레이먼드 보이스(오른쪽)

 
 
그리고 이러한 SQL을 대중화 시킨 것은 오라클이라는 회사로,
 
현재는 SQL을 사용하지 않는 기업을 찾기 힘들 정도로 SQL은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2) SQL 중요성 

[사진2] 2025년 6월 기준 프로그래밍 언어 중 SQL은 12위

 
혹자분들은 SQL을 IT기업 혹은 그냥 개발자 직군정도에서만 사용하는 것 아니냐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SQL은 앞에서 적었듯 사용하지 않는 기업을 찾기 힘들 정도로, 많은 분야와 직군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크게 네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2-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방식
 
첫째는 많은 회사에서 데이터를 주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방식(RDB, Relational Database)으로 저장하는데, SQL은 이러한 RDB의 표준 언어입니다. 
 
즉 SQL을 모르면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방식의 형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SQL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2) 데이터 자체의 중요성 증가
 
둘째로는 데이터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너무나 강조되어 조금 진부하게 느껴지기도 하는 AI시대에 접어들면서,
 
이전에는 데이터라고 취급하지 않았던 많은 정보들이 데이터화 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 수 있게 되면서 
 
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물론 AI를 직접 사용하지 않더라도 각 산업과 직군에서 이전보다 더 많은 정보들이 DB에 저장되면서 SQL의 중요성도 자연스레 커진 것 같습니다.
 
 
2-3) 표준 언어가 주는 범용성
 
마지막 세번째는 SQL은 범용성이 좋습니다.
 
SQL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과는 달리 표준화된 언어이기 때문에,
 
MySQL을 쓰든 Oracle을 쓰든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한 번 배워놓으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달라져도 DB에 관한 프로그램에서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죠.
 
 
2-4) 높은 가독성
 
개인적으로 저는 이게 SQL이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큰 이유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SQL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조작하기 위해서는 쿼리(Query)라는 명령문을 작성합니다.
 
이때 쿼리는 영어의 문법구조 및 표현과 거의 유사해서, 쿼리에 대해 전혀 모르는 분들도 직관적으로 대부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쿼리가 있는데, 한 번 내용을 추측해보시길 바랍니다.

select name 
from users
where salary > 5000 and job = 'finance'
order by age

 
해당 쿼리를 설명드리면
 
'name'이라는 데이터를 선택해서 가져옵니다.
 
이때 가져오는 데이터베이스의 출처는 'users'가 되고, 
 
'users'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모든 'name'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salary'가 5000이상이고, 직업이 'finance'인 사람만 가져옵니다.
 
마지막으로 가져온 데이터의  정렬 기준은 'age'가 됩니다.
 
물론 SQL을 이미 알고 계시는 분이시라면 당연히 바로 아셨겠지만,
 
혹시 SQL 쿼리를 처음 접하시는 분이라도 많은 내용을 추측하실 수 있으셨을겁니다.
 
이렇듯 SQL은 높은 가독성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3) SQL의 구성요소 
 
조금 더 SQL에 대해 깊게 들어가보면, SQL은 몇가지의 핵심 구성요소가 있습니다.
 
 
3-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Database table)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데이터'하면 딱 떠오르는 이미지입니다.
 
행과 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하나의 테이블은 하나의 대상을 내용으로 합니다.
 
엑셀을 통해 간단한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이 직원정보를 담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사진3]

 
 
 
 
3-2) 데이터베이스(Database)
 
데이터베이스는 여러개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담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아까의 예시를 활용하자면, 회사에는 '직원정보'를 담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 있을 수 있고,
 
'회사부서'의 정보를 담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묶어서 '회사정보'라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 있는 것이죠.
 
 
3-3) 쿼리(Query)
 
쿼리는 앞서 간단히 예시를 드렸지만,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불러오고 조작하기 위한 일종의 명령문입니다.
 
실제 업무에서는 SQL을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만들기보다는,
 
기존의 데이터들을 조회하고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쿼리가 주된 요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쿼리 예시

select name 
from users
where salary > 5000 and job = 'finance'
order by age

 
 
그럼 여기까지 SQL의 아주 간략한 역사, 중요성과 구성요소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드렸습니다.
 
다음 글부터는 SQL 쿼리에 집중하여 다양한 쿼리문과 기능들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